지난 9월 16일에 이더리움이 성공적으로 '머지'를 마쳤습니다. 이더리움 역사에 중요한 사건이 된 이 '머지'가 무엇인지, 머지의 내용과 효과를 알아보고 머지 이후에 이더리움 가격에는 어떠한 영향이 있을지, 또한 이더리움의 머지 이후에 다른 코인들에는 어떠한 영향이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더리움 '머지'란 무엇인가?
이더리움의 머지 이후에 거래가 발생하는 방식이 바뀝니다. 이전에는 '작업 증명(Proof-of-Work)'모델이었습니다. 이 모델 하에서는 거래를 할 때 '노드'가 필요합니다. 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들은 수학 문제를 푸는 컴퓨팅 파워를 가지고 서로 경쟁했습니다. 컴퓨팅 파워가 많은 노드가 거래의 다음 블록을 채굴하고 새 코인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머지 업그레이드를 하고 나면 '지분 증명 (Proof-of-Stake) 모델'로 바뀝니다. 이 모델은 이전보다 훨씬 에너지 효율적이고 환경 친화적입니다. 왜냐하면 각 노드가 해당 네트워크에 (이 경우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얼마나 많은 지분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알고리즘으로 노드를 선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작업을 더 많이 했음'이 아니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지분을 더 많이 가지고 있음'을 증명해서 이더리움 코인을 만들게 되는 것입니다.
'머지' 업그레이드의 효과
이 '머지' 업그레이드는 오래전부터 시도되었고 몇 차례 연기된 끝에 단행되었습니다. 이 머지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로 가장 크게 주목받는 것은 '에너지 절약'효과입니다. 작업 증명이 아닌 지분 증명 방식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99%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거래속도도 빨라진다고 합니다. 기존 13-14초에서 12초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거의 알아차리기 힘든 속도이지만 이를 기점으로 앞으로 더 빨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채굴 방식이 달라져서 이더리움 공급이 줄어듭니다. 비트코인처럼 총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코인들과는 다르게 이더리움은 기술적으로 무한대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 우려가 있었으나 이번 머지 이후 신규 이더리움 발행량도 90% 이상 감소합니다. 따라서 공급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더리움 머지에 대한 투자자들의 대응과 가격변화, 향후 전망
이더리움의 머지 업그레이드에 관련해서 투자자들이 해야 할 일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기술적인 업그레이드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여기에 관련해서 출금을 하거나 돈을 내야 한다던가 할 일은 전혀 없습니다. 머지가 끝날 때까지 이더리움의 송금이 금지되는 것만을 알고 있으면 됩니다. 따라서 코인 거래소를 사칭하여 이더리움 머지 때문에 입출금을 해야 한다는 식의 메일이 오면 주의해야 합니다. 이런 메일이 실제 거래소에서 보내온 것인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이더리움 가격에 대해서는 머지를 하게 되면 공급이 줄어들어 가격이 오를 것으로 보는 시각이 강했습니다. 그러나 실제 머지가 끝나고 나서 가격은 기대만큼 오르지 않았고 오히려 전일 대비 7.11% 하락했습니다. 아마도 거시 경제 전체의 어려움이 반영된 것 같습니다. 또한 최근 빈번했던 코인 사건 사고로 인해 코인이라는 자산 클래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확신도 많이 줄어든 상황이라는 점도 작용한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전문가들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이더리움의 이번 머지를 시작으로 앞으로 더 많은 기술적 업그레이드가 일어날 것이며, 공급 감소로 이더리움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트코인 같은 다른 코인에 대한 투자자 심리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투자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락 새마을 금고 정기 예금 - 8%, 가입조건, 방법, 만기이자계산 (0) | 2022.12.04 |
---|---|
케이 뱅크 10% 고금리 적금 - 코드 K 자유적금 (0) | 2022.09.19 |
시중 은행 고금리 예금 상품 정리 - 우리, 하나, KB 국민은행, 신한은행 (0) | 2022.09.15 |
삼성전자 2분기 배당금과 현대차 중간배당금 - 배당액수와 배당지급일 (0) | 2022.08.07 |
22년 공모주 대어 쏘카 - 기업 소개, 청약일정, 공모가 등 청약정보와 청약꿀팁 (0) | 2022.08.05 |
댓글